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12일 지난 5월 지정된 13곳의 도시재생선도지역 중 1차로 부산시(경제기반형)·서울시·창원시·영주시(근린재생형) 4곳에 대해 총 5,529억원 규모의 사업계획을 승인했다. * 부산시(2,952억원), 서울시 종로구(459억원), 창원시(1,765억원), 영주시(353억원)
이들 도시재생선도지역은 작년 6월 제정된 도시재생특별법에 따라 쇠퇴가 심각하고 파급효과가 높은 지역에 국가와 지자체가 집중적으로 재생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5월 지정되었고, 이후 지자체별로 주민 · 공공기관 · 지역단체 등과 함께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을 입안하고, 국무총리가 위원장인 도시재생특별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계획안이 확정되었다. * 도시재생특별위원회 : 16개 관계부처의 장 및 13명 민간위원으로 구성
국토부는 ‘17년까지 4년간 이들 4개 지역에 1,100억원(지방비 50%)을 지원하고, 문화부·중기청 등 12개 관계부처도 25개 사업에 2,215억원을 협업을 통해 함께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신설되는 주택도시기금 등 정책금융의 활용, 건축규제완화 및 행정적 지원 등을 통해 총 1,400억원 규모의 민간투자 사업도 차질없이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 지역별 상세 계획 >
[1] (부산 : 경제기반형) 한국전쟁 피난민 정착과 항만 운영 등으로 번영했던 부산역-부산항 일원이 부산항 기능 이전 등으로 공동화되는 것을 다시 정비하고 경제기반을 재구축한다.
북항 재개발, 부산역 철도시설 재배치 등 대규모 사업과 연계하여 부산역 일원에 ICT, 관광, 영상 등 새로운 산업 기능을 유치하고, 배후 상업·주거지역의 차이나타운, 산복도로 마을 등을 활용한 도시관광 사업이 추진된다.
이를 위해, 북항과 부산역·원도심을 연결하는 창조지식플랫폼을 건립하고, 미래부의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입주시켜 새로운 경제기반을 구축하는 중심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2] (서울 : 근린재생형) 종로구 창신동·숭인동 지역은 70년대 봉제산업의 밀집으로 형성되었으나 봉제산업의 침체와 8년간의 뉴타운 사업 지연에 따른 갈등과 주거환경 악화 등으로 고통받던 지역을 주민커뮤니티 중심으로 다시 회복시키는 사업이 추진된다.
주요 사업으로는 인근의 동대문 패션상가 등과 연계하여 기존 봉제산업을 특화하기 위한 사업으로 폐·공가를 창신·숭인동의 청년 디자이너들의 의류상품 제작 등 봉제 작업공간으로 제공하고, 패션상가와 안정적인 판로 구축을 통한 유통 플랫폼 조성을 추진 한다.
또한 유네스코 유산 등록을 추진중인 한양 성곽을 활용한 마을관광자원 개발, 낙후된 주거환경 개선사업과 주민공동체 활성화 사업 등을 추진한다
[3] (창원 : 근린재생형) 통합창원시가 되기 전 舊 마산지역(오동동·동서동 등 일원)은 국내 첫 자유무역항인 마산항과 제조업 활황에 힘입어 ‘80년대 전국 7대 도시였으나, 공공청사의 이전 및 마산항 기능축소 등으로 인구감소(60만 → 40만) 및 쇠퇴가 심화되었다.
본 선도지역 사업은 이은상, 문신 등 지역 예술가 등이 활동했던 구도심의 역사성을 살려 기존 골목길을 살린 창동예술촌 · 창작공예촌을 활성화하고, 마산항 임항선 폐선로를 활용한 공원 조성과 마산항 워터프론트 조성 등을 연계하여 추진한다.
[4] (영주 : 근린재생형) 중앙선과 영동선 철도가 교차하는 교통요지인 영주시는 ‘73년 영주역이 이전되면서 원도심(영주 1·2동 일원)의 빈점포 증가 및 인구 감소 등 쇠퇴가 심화되었다.
일제 강점기 및 ‘50년대 근대 한옥건물 등이 남아있는 후생시장과 중앙시장의 경관개선 및 리모델링을 통해 외부 관광수요 등을 유치하고, 고령화된 주민의 소득창출을 위한 생활공예 등을 중심으로 하는 마을기업과 협동조합 육성 사업이 함께 추진된다.
< 향후 일정 등 >
주민과 함께하는 도시재생사업은 ‘관’ 주도 하향식 사업 일변도의 기존의 지역개발 사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주민이 직접 계획 및 사업시행과정에 참여하여 지역특색에 맞는 사업을 추진하도록 하는 현 정부의 역점 지역개발사업이다.
국토부는 금년 지정한 13곳의 선도지역 중 나머지 9곳*에 대해서도 순차적으로 활성화계획을 승인하고, 지속적으로 사업을 지원하고 성과를 도출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 천안, 청주, 공주, 군산, 순천, 목포, 광주동구, 대구남구, 태백
정병윤 국토도시실장은 “압축성장기에는 도시 외곽에 대단위 개발이 필요했지만, 이제는 도시 내부의 오래된 공간을 다시 활용하는 도시재생 중심으로 지역개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며 다양한 도시재생 지원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